분야별 정보
시민과 함께하는 스마트 행복도시 안양!

안양만안답교놀이(안양시 향토유산)

만안 답교놀이 사진
답교놀이는 정월 대보름날 다리를 밟고 노는 세시풍속의 하나입니다. 1987년 실태조사를 통해 안양에서는 호계지역과 만안교지역에서 답교놀이가 성행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식민착취에 따라 경제적 여유가 점차 없어지면서 1920~30년경에 사라졌다고 합니다. 안양만안답교놀이는 실태조사와 원로들의 고증을 통해 호계지역의 답교놀이와 만안교지역의 답교놀이를 실존하는 만안교(경기도 유형문화유산)를 중심으로 복원한 것으로 놀이는 길놀이, 다리밟기놀이, 무동춤놀이, 선소리꾼놀이, 대동놀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88년 첫 재현이 이루어졌으며, 1989년 제6회 경기도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첫 출전하여 공로상을 받았습니다. 현재 안양만안답교놀이보존회에서 전승하고 있으며, 매년 정월대보름 시기에 시민과 함께하는 대동놀이로 재현되고 있습니다.

비산동 안날미의 세시놀이

비산동 안날미의 세시놀이 사진
대개 정월 대보름에 하는 놀이로 연 띄우기, 널뛰기, 달님 절하기, 쥐불놀이 등이 있습니다. 연 띄우기는 주로 방패연으로 했으며, 연싸움도 많이 했습니다. 널뛰기는 여자들이 즐겨 했던 놀이로 마을 마당에서 즐기던 놀이였습니다. 달님 절하기는 정월 작은 보름달(1월 14일) 저녁에 짚을 들고서 마을 뒷산에 달이 잘 보이는 곳으로 올라가서 짚을 약 1발쯤의 길이로 엮습니다. 이것을 개인마다 하나씩 들고서 달을 향하여 불을 지르고 “달님 절합니다. 달님 절합니다.”를 반복하면서 달에게 새해 소망을 비는 놀이입니다. 혼자서 산으로 올라가지는 않고 5명에서 10명 정도가 올라가는데 청년층이 즐겨 놀았던 놀이입니다. 쥐불놀이는 논밭의 풀들을 태워서 한해 농사의 병충해를 없앤다는 의미에서 비롯되었으며, 주로 청소년층이 즐겨 하던 놀이입니다. 그 외 그네뛰기가 있었는데 단옷날에 마을의 큰 나무에 줄을 매어 여자들이 그네를 즐겼습니다.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안양시가 창작한 "민속놀이"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으로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관광과 > 문화관광
  • 전화번호 031-8045-2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