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정보

해외연혁

캐나다 ‘밤길 안전하게 다니기’ 캠페인이 시발

여성친화도시는 1970년대에 북미 여성운동가들이 주창한 개념으로 안전성, 접근성, 편리성, 쾌적성을 갖춘 도시를 말함. 1981년 캐나다에서 일어난 '밤길 안전하게 다니기' 캠페인을 비롯, 1980~90년대 문제제기 차원의 캠페인을 통해 널리 알려짐.
1990년대에는 여성들이 공공공간에서 보다 안전하게, 적극적으로 활동 할수 있도록 정책적, 사회경제적 시책들을 시행하는 흐름으로 이어짐. 1992년 리우 환경선언 뒤 지속가능한 개발이 의제로 떠오르면서 여성, 장애인, 아동 등 소외된 계층의 거주권 확보라는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함.

1994년 '도시여성을 위한 유럽선언'은 그동안 여성이 도시의 사용자로서 뿐만 아니라 계획자로서도 배제되어 왔음을 지적하고, 본격적으로 여성성을 고려한 도시를 모색하려는 프로젝트임

해외사례

LA 여성중심 의료센터(Feminist Women's Health Center) 사례

  • 여성의 신체에 대한 자율성을 보장하는 여성 중심의 의료서비스 제공
  • 임신, 출산, 피임, 낙태, 폭력 등에 대해 여성의 자기결정권 우선 보장
  • 여성의 생리적인 문제와 여성의 생애주기에 맞는 건강정보 서비스 제공
  • 여성의 선택과 결정을 도울 수 있도록 학교 및 지역사회 교육을 동시 진행

독일 어머니 센터(Mother Centers)를 통한 지역 공동체 개발

  • 독일에서 일어난 자력 운동조직이며, 최근 20년 동안 15개 국가에 전파되어 750개가 넘는 센터들로 구성되어 있음. 이들은 유엔인간정주위윈회(UN-HABITAT)로부터 ‘최고의 사례’로 공인받았음.
  • 어머니 센터에서 여성들은 일상생활에 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발표하고,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가족들과 연결하여 보육, 노인돌봄, 급식서비스, 중고가게, 장난감 가게 등과 같은 활동들을 통하여 가족친화적인 환경(family friendly environments)을 지역사회에 정착시켰음.
  • 어머니 센터는 ‘공공의 거실(public living rooms)'이라고 불리는데, 교회, 공공건물을 빌리거나 무상으로 공간을 기부받기도 하고, 때로는 기업체 사옥의 일부를 기증받기도 하며 정보, 지역문화, 지역에 대한 지식의 교환의 장(場)으로 기능하고 있음.
  • 가정과 지역공동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여성들에게 어머니 센터는 세부적인 사항들로부터 시작하는 지역공동체 안의 시험적인 공간 만들기 역할을 하고 있음.

안양시 여성친화도시 대표사업

  • 아이사랑놀이터 운영

    부모교육 강화를 통해 부모의 역할을 지원하고, 다양한 육아 지원을 통해 자녀 존중의 가정 양육 문화를 마련

  • 안양형 여성친화기업 인증

    우리시 기업체 대상 일·생활 양립을 위한 제도 마련 및 특정 성별을 차별하지 않는 근무환경 조성

  • 일·생활 양립지원 사업

    가족센터 운영, 24시간 시간제 어린이집 운영, 여성인력개발센터 운영 등 일·생활 양립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

  • 스마트 안심사업 추진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상시점검 및 모니터링, 스마트스쿨존 등 기술을 통한 안전체계 구축

지정 현황

우리나라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신도시 개발에서 여성친화도시가 새로운 흐름으로 등장하였으며, 여성가족부는 2006년 김포 한강신도시의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하여 범죄예방 분석 등 7개 항목으로 실시한 성별영향평가를 시작으로, 2009년 3월 익산시를 여성친화도시로 지정하고, 익산시와 여성친화도시 협약식을 함.

(2024. 12. 기준)

여성친화도시 지정 현황 - 지역, 계, `24년 지정, `23년 지정, `22년 지정, `21년 지정, `20년 지정,
지역 `24년 지정 `23년 지정 `22년 지정 `21년 지정 `20년 지정
106 16 15 25 29 21
서울 15 강북구
관악구
금천구
강동구 도봉구
마포구
서대문구
용산구
서초구
송파구
은평구
성동구
동대문구
동작구
종로구
부산 4 - 연제구 - 북구
수영구
사하구
대구 2 - - 달서구
수성구
- -
인천 8 - 계양구
서구
부평구 중구
동구
미추홀구
남동구
연수구
광주 5 - 남구 광산구
서구
동구
북구
-
대전 5 서구 - - 동구
유성구
중구
대덕구
울산 - - - - - -
세종 1 - - - 세종특별
자치시
-
경기 16 고양시
포천시
광명시
광주시
안산시
용인시
수원시
안양시
의정부시
화성시
오산시
성남시
이천시
파주시
하남시
부천시
강원 8 삼척시
영월군
춘천시
원주시 속초시 태백시
홍천군
횡성군
-
충북 7 제천시 - 음성군
충주시
증평군
청주시
괴산군
진천군
충남 10 공주시
예산군
홍성군
보령시
서천군
당진시
부여군
서산시
아산시
천안시
전북 3 남원시 익산시 - 순창군 -
전남 9 나주시
목포시
- 광양시
여수시
장흥군
해남군
순천시 화순군
강진군
경북 4 - 구미시 포항시 경주시 칠곡군
경남 8 - 합천군 김해시
사천시
남해군
양산시
고성군
진주시
창원시
제주 1 - - 제주특별
자치도
- -

※여성친화도시 지정 이후 매년 이행점검 실시 및 5년차 재협약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안양시가 창작한 "여성친화도시 사례"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으로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여성가족과 > 여성정책
  • 전화번호 031-8045-5892